MRI
MRI(자기공명영상) : Ingenia 3.0T CX-Q(미국 Philips)
자기공명영상이란 자석을 이용한 촬영 기법입니다. 자석으로 구성된 장치 내에 사람이 누우면 고주파를 쏴 인체에 존재하는 수소 원자핵에서 나오는 신호를 분석해 각 조직과 구조물들의 공명 현상 차이를 계산,
영상을 구성합니다. X선을 이용하지 않아 방사선 피폭이 없으며 연부 조직 간 대조도가 뛰어납니다. 뇌출혈과 뇌경색, 뇌종양과 같은 뇌질환, 척추 디스크 탈출, 퇴행성 척추질환을 진단하는데
필수적입니다.
Ingenia 3.0T CX-Q MRI는 세계최초로 dStream 디지털 광대역 아키텍처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아날로그 MRI 대비 40% 이상 향상된 신호를(SNR) 얻을 수 있고 무손실 광대역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여 데이터 처리량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고해상도의 디지털 MRI입니다.
세계 최초의 MultiTransmit 기술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위한 균 일한 이미지 제공 합니다.
홍성의료원 Ingenia 3.0T CX-Q MRI 는 영상의 품질 저하 없이 기존 MRI 대비 검사시간을 최대 50% 단축시킬 수 있는 최신기술인 Compressed Sense 와 기존대비 소음을
80% 까지 감소시키면서도 정확한 진단정보를 제공하는 ComforTONE 기술, 남은 검사시간을 자동으로 알려주어 환자의 불안감을 줄여주는 AutoVoice 등 Philips Healthcare의 최신
기술을 모두 적용하였습니다.
확산강조영상 기능
뇌뿐만 아니라 복부, 척추, 관절 등에서도 확산영상을 얻어 전이성 악성 병변의 판별이 더욱 용이.
수많은 임상 영역에서 3D 영상촬영 가능
머리, 다발성경화증, 경추, 척추, 요추, 골반 및 복부질환, 복잡한 병변과 같은 임상영역에서 3D 영상촬영이 가능하여 매우 선명한 화상 이미지를 얻을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가능.
움직임 보정 기능
진정제 투여가 필요한 환자나 소아환자도 움직임 보정기능에 의해 검사 시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보정.
MRI로 PET과 같은 영상
확산강조영상을 이용해 뇌뿐만 아니라 간과 같은 특정 국소 영역에 있는 병변을 감지할 수 있어 악성 병변과 양성 병변을 더욱 쉽게 구분 가능.
CT
CT(전산화 단층촬영) : Scenaria (일본 HITACHI)
홍성의료원에서 도입한 CT(전신화단층촬영장치)는 일본 HITACHI가 개발한 최신형 Scenaria 모델입니다. Scenaria는 전신 촬영에 걸리는 시간이 0.35초 만에 128개 고화질 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기존 CT로는 발견하지 못했던 0.6mm 종양까지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영상의 질을 높였으며 ▲심장인식 조절기능 ▲종합검진 소프트웨어 등 최첨단 기능을 탑재해 사용자 편의성도 강화했습니다.
또한 환자의 출입구경(Gantry)이 75cm로 타 제품에 비해 5cm이상 넓어 CT 촬영에 거부감을 갖고 있는 폐쇄공포증 환자나 어린이들도 편안하게 검사 받을 수 있습니다.
최근 사회적 관심사로 대두된 저선량 기법의 촬영이 가능합니다. 특히 좌ㆍ우 종합 16cm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딩테이블을 통해 부위를 선택적으로 촬영함으로써 피폭량을 45% 정도 감소시켰습니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
각종 폐질환 진단에 있어서 일반적인 흉부 X-선 검사로는 찾아낼 수 없는 작은 병소를 더욱 정확히 알아 낼 수 있는 장점. 또한 조영제를 혈관에 투여하여 흉부의 혈관구조도 관찰할 수 있음.
두부 전산화단층촬영
두개골, 뇌척수액, 백질, 회백질 등을 잘 구분해 주기 때문에 뇌출혈, 뇌경색, 뇌종양, 동맥류·정맥류 기형, 뇌부종, 뇌질환을 의심하는 경우에 보편적으로 실시하는 검사.
복부/골반 전산화단층촬영
간담도질환, 췌관의 확장 및 폐색, 종양의 전이 유무와 병기진단, 결석, 골반부 및 방광질환 등 전반적인 복부 및 골반 부위를 검사.
척추 전산화단층촬영
추간판 탈출증(disc), 척추관 협착, 퇴행성 질환, 종양 등 모든 질환이 대상이 되며, 골절 등 척추 각 부위의 손상을 파악하는데 도움.
심장 전산화단층촬영
심장의 종양, 심근경색, 심박출량 및 관상동맥내의 경화로 인한 협착 등 전반적인 심장 질환 진단이 가능. 혈관절개 등의 복잡한 절차나 입원이 필요없는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심혈관 질환을 발견할 수
있음.
디지털혈관조영기
디지털혈관조영기 : Allura Xper FD20/20(미국 Philips)


필립스의 최신 혈관조영촬영장치 “Allura xper FD20”는 두부, 흉부, 복부, 사지 혈관 등 인체 내의 모든 혈관의 이상 유무를 조영 진단하고, 더 나아가 혈관 치료를 시술하는데 쓰이는
초정밀 최첨단 기기이다. 영상의 획득, 처리, 시현 및 저장 과정에서 화상의 해상력이 매우 탁월하고 영상의 실시간 디지털 시현이 가능해 효과적이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도와준다.
고해상력 영상 기법으로 혈관 질환의 효과적 진단 및 치료
혈관 조영검사는 인체 내의 혈관에 카테터(catheter)라는 2mm 내외의 가는 관을 넣어 X-선이 투과되지 않는 조영제(contrast media)를 주입하면서 X-선을 조사하여 혈관 영상을
얻고, 이를 통해 병변의 이상을 확인하거나 이상이 있는 병변에 대하여 적절한 치료를 행하는 시술법이다.
필립스의 Allura Xper FD20는 최대 4 메가픽셀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평판형 검출기(flat panel detector)를 사용하여 유리한 진단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고해상도
영상으로 의료진은 미소 병변을 비롯하여 혈관 질환을 효과적으로 진단할 수 있게 되었으며, 중재적 시술시 미소 병변을 확인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치료가 가능해졌다.
최소한의 X-선과 조영제로 환자의 안전 제고
필립스의 Allura Xper FD20는 기존의 영상증배관(Image Intensifier)을 대신하여 평판형 X-선 검출기(Flat Panel Detector)를 사용하여 환자의 진단 및
중재적 방사선 치료에 사용되는 X-선의 양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디지털 기술의 접목으로 우수한 영상을 획득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혈관조영상을 얻기 위해 주입해야 하는 조영제의 양을
최소화하여 환자의 신장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검사 및 중재적시술에 소요되는 시간도 기존의 장비에 비해 많이 단축되었다.
3D 영상 시뮬레이션으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치료 지원
최근 개발된 디지털 시스템에서는 X-선 튜브와 검출기(detector)가 같이 회전하여 영상을 획득한 후, 이를 3D 영상으로 재구성하여 치료 과정을 먼저 시뮬레이션 해보고 최선의 치료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실제로 기존의 아날로그 시스템을 사용한 중재적 혈관 시술에서는 혈관이 가장 잘 보이는 각도를 2D 영상으로부터 찾아야 했으나, 필립스의 디지털 혈관조영촬영장치 Allura
Xper FD20는 획득한 3D영상과 X-선관을 연동시켜 의료진이 시술 중에 3D 영상을 보면서 최상의 각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 원하는 각도로 자동 회전되므로 매우 효율적이다. 또한 환자에게
직접 중재적 시술을 하기전에 획득한 3D영상에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므로 정확한 치료에 도움이 된다.
혈관조영술이란 X-ray 촬영기를 이용한 혈관의 검사 및 치료술로서, 전문의가 체외에서 카테터(Catheter)라는 가는 관(2mm 내외)을 환자의 혈관으로 넣고 조영제를 주사하여 혈관의 이상
여부를 검사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그 치료를 위한 적절 한 시술을 행하는 영상 진단 방법입니다.
임상 이미지
-
내경동맥 협착영상에서 가상으로 스텐트를 넣어 시술하는 영상
-
복부대동맥류 영상에서 가상으로 시술하는 영상
- X-ray Detector가 Scintillator 소자로 최대 2048x2048 14bit로 프로세싱하며, Pixel size는 154μm로 초정밀 영상시현 가능.
- 실시간 선량을 디지털 시현하여 극소량의 조영제를 사용하면서 고 해상력, 고 대조도 및 고 선예도의 영상 처리 가능.
- - 85kw급 양극 직접 냉각 방식의 차세대 초 강력 엑스선관인 MRC 세라믹 튜브 장착.
진단용 X선 장치
진단용 X선 장치 : DIGITAL DIAGNOST(독일 Siemens)
일반적인 X-선 검사를 말하며 정밀한 기술적인 과정이 종합되어 이루어진 결정체라 할 수 있습니다. X-선 발생장치(기계)를 이용하여 생성된 X선을 인체에 투과시켜 그 결과를 필름에 영상화하거나,
근래에는 디지털 영상화하여 모니터로 표현 합니다.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을 통해서 생체 내 질병의 변화나 그 정도를 추정, 또는 해부학적 구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INNOVISION-SH는 Flat Panel Detector와 DK의 X-ray기술을 접목한 Digital X-ray촬영장치입니다. INNOVISION의 Flat-Panel
Detector(FPD)는 17”x17”의 넓은 촬영 영역을 갖는 평판형 디지털 엑스레이 디텍터로서 DR 영상 이미지에 알맞게 설계되었습니다. 특히 고해상도 평판 디텍터가 깨끗한 화질을 제공하는
동시에 각종 촬영을 용이하게 합니다.디지털 X선 장비인 만큼 DICOM지원을 통해 PACS와 원활하게 연동할 수 있습니다.
그 외 홍성의료원에서 보유한 진단용엑스선장치 목록
- AlluraXperFD20/20 (네델란드 필립스)
- UD150B-40 (일본 Shimadzu)
- SHIMAVISION EX Q (일본 Shimadzu)
- MobileArt Evolution (일본 Shimadzu)
- ARCADIS VARIC C-ARM(독일 Siemens)
- 이외 다수 진단용엑스선 장치 보유
SONO(초음파) : ACUSON S2000
SONO(초음파) : ALOKA ARIETTA 850
ALOKA ARIETTA 850은 히타치가 세계 최초로 개발한 미세 가공 초음파 반도체 탐촉자(Capacitive Micro-machined Ultrasound Trasducer, CMUT)와
OLED 모니터를 적용했습니다.
이는 영상의학과를 비롯해 산부인과, 내과, 외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빠르고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초음파 영상진단장치로 평가받고 있습니다.새롭게 개발된 탐촉자는 기존 크리스탈 방식이 아닌 100%
반도체 소재로, 하나의 탐촉자로 여러 광대역 주파수 활용이 가능해 다양한 신체부위 검사를 할 수 있습니다. 신체 부위에 따라 탐촉자를 바꿔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인 것입니다.
해당 제품은 히타치가 개발해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엘라스토그래피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콤비-엘라스토 기능을 탑재했습니다. 이는 초음파 신호를 통해 암 등이 의심되는 부위의 경도를 측정해 단단한
암 종양과 부드러운 정상 종양을 다른 색상으로 나타냄으로써 종양의 악성 여부를 손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해주는 영상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조직의 탄성도를 색상으로 표현해주는 쉬어웨이브이미지와
주파를 이용해 병변의 경도를 수치로 표현하는 엘라스토이미지의 동시 구현이 가능, 진단의 정확도가 향상됩니다. 이외에 미세혈관 혈류량과 방향성을 분석, 동맥경화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등
진단과 치료 영역에서 활용성을 높였습니다.
치아연속촬영기
치아연속촬영기(파노라마) : Veraviewepocs-D (일본 J.Morita)
치아 연속 촬영기는 효과적인 진료계획과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 촬영하는 장비로써, 종합적인 방사선 검진을 통해 구강과 상·하악골 구조 등을 정확히 파악하고 비정상적인 혹은 병소부를 진단·치료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입니다.
본원의 Veraviewepocs-D 파노라마 치아연속촬영기는 윗턱, 아래턱 및 얼굴구조물들을 하나의 연속된 상으로 나타내어 한 장의 디지털 영상으로 동시에 볼 수 있는 사진을 구현해 내어 효과적인
진단 및 치료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은 증상을 파악하고 진단하는데 효과입니다.
- 치아소실의 원인 탐색
- 치근단 및 치주병변검진
- 치염 상악동염 질환 파악
- 부정교합 및 악관절 질환 판단
- 안면 및 악골의 불균형과 종창원인
- 악골 골수염
- 악안면골 골절
- 악 기형 진단 및 치료 후 예후 판정
- 임프란트 시술
BMD 골밀도측정기
BMD 골밀도측정기 : Discovery W (미국 Hologic)
골밀도 검사란 인체 특정 부위의 뼈의 양, 즉 뼈의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 입니다. 뼈를 구성하는 성분 중에서도 칼슘과 같은 무기질의 함량을 측정하는 것이 '골밀도'인데 이 골밀도는 태어나서
성인이 될 때까지 점차 증가하며, 10~20대 시기에 가장 높아지며, 이후 점차 감소하게 됩니다.
검사주기는 골다공증 환자 경우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실시할 것을 권장하고, 선별검사는 65세 이상의 여성, 70세 이상의 남성에서 시행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 65세 이하의 여성에게서
골다공증 발생 위험요소가 있는 경우, X선 검사 등에서 골다공증이 의심될 경우, 척추 압박굴절의 소견이 있을 경우에 검사를 시행합니다.
본 원에서 보유중인 골밀도측정기 Discovery W는 골밀도 측정을 위한 이중에너지 흡수(DXA)방식에 의한 X-Ray 발생용 진단 장비로써, 환자의 정확한 골다공증진단을 위한 임상적이고
연구목적에 부합한 True Fan Beam 방식입니다. 또한 X-Ray 발생방식이 CT등 고급 X-Ray 기기에 사용되는 High/Low Energy를 번갈아 발생시키는 Switching
Pulse 방식을 사용하여 뛰어난 진단이 가능합니다.
- Express BMD 10 Second Spine and Hip acquisition
- Express Exam Productivity Tools
- Better than 1.0 % in vivo precision
- L1-L4 Standard Spine Analysis
- Five Region Proximal Femur Analysis (Total Femur, Femoral Neck, Intertrochanteric, Trochanteric, Ward's
Triangle)
- AcuVue automated Dual Femur
유방촬영장치
유방촬영장치 : Mammo (미국 Hologic)
디지털유방촬영기는 말 그대로 여성의 유방에 생긴 질환을 검사하는 영상 의료장비이다. 의사가 촉진을 하지만 종양의 크기가 1cm 내외가 되어야 가능하므로, 1mm 크기 이내의 종양까지 촬영 가능한
디지털유방촬영기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홍성의료원에서 도입한 미국 Hologic사의 디지털 유방촬영기는 기존의 촬영기에 비해 많은 장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4cm X 29cm 크기의 대형
디텍터(아날로그 신호를 영상화시키는 장치)를 장착하여 유방 전체를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졌으며 유방이 커서 2회에 걸쳐 했던 촬영을 한번에 촬영할 수 있게 됐습니다. 현존하는 최고 수준의
해상도(1,360만화소)의 이미지질을 가지고 있어 유방암 조기진단에 유리합니다. 유방암은 대부분 초기 증상이 없으며, 만져지지 않은 경우가 많아 35세 이상의 여성은 정기적인 유방검진을 통해
유방암을 조기 진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체외충격파쇄석기
체외충격파쇄석기 : ASADAL M1 (한국 Comed)
체외충격파쇄석술은 체외충격파를 이용해 결석을 미세한 정도로 잘게 부수어 소변과 함께 배출시키는 최첨단 치료방법입니다. 또한, 체외충격파쇄석술은 마취나 입원 없이 간단히 외래에서 시술이 가능하며
시술 후 바로 정상 활동이 가능합니다.
코메드사의 ASADAL M1은 자체기술력을 바탕으로 국산화에 성공, 지금껏 많은 사용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C-arm과 DR을 통한 영상처리기술은 결석확인의 최적화된 영상을 제공하며
90%이상의 높은 쇄석성공률을 자랑하고 있으며, 치료효과가 매우 높아 체외충격파쇄석술 이후 신기능의 손상도 없어 매우 안정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쇄석기 최초로 2014년 11월 미국 FDA 승인을 획득하였으며 최상의 화질을 제공하는 1K CCD Camera, 광범위한 부위 스캔이 가능한 I.I, 내구력 및 고출력 Boost
Mode 지원이 가능한 Rotating 방식 튜브를 적용해 정확한 결석 위치를 파악하고 포커성이 용이합니다.
더불어 최신 기술인 Electro magnetic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최상의 쇄석률을 제공하고, 안정된 충격파 출력 및 시술 시 발생하는 소음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켜 환자가 물리적·심리적인 고통을
느끼지 않고 편안하게 시술 받을 수 있습니다.